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경제

💼 2025년 종합소득세 완전 정리 (2024년 귀속 기준)

by 야무진 희희 2025. 4. 15.

 

종합소득세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 기간인데요.

누가 신고 대상이지, 세율을 어떻게 되는지, 신고는 어떻게 하는지, 정확히 할고 계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종합소득세 대상자, 세율, 계산법, 신고 방법, 납부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2024년 귀속 기준 정보이며, 2025년 5월 신고 시 참고해주세요.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확인

아래에 해당하는 소득이 하나라도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소득 종류 설명
사업소득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온라인 셀러 등
근로소득 두 곳 이상에서 급여를 받은 경우 (이중근로자)
이자/배당소득 금융소득 연 2,000만 원 초과
연금소득 일정 기준 초과 시
기타소득 강의료, 원고료, 인세, 일시 소득 등

한 직장에서만 월급 받는 근로자는 대부분 연말정산으로 종료되므로 별도 신고 의무 없음


🔍 납세자 유형별 정리

유형                코드                                                                                  납세자장부의무                                    경비율

S 성실신고 대상자 복식부기, 간편장부 기준/단순
A 세무대리인이 장부 작성 복식부기 기준
B 본인이 장부 작성 복식부기 기준
C 추계신고한 복식부기의무자 복식부기 기준
D 소득 큰 간편장부 대상자 간편장부 기준
E 소득 작은 간편장부 대상자 간편장부 단순
F 사업소득 有, 세금 有 간편장부 단순
G 사업소득 有, 세금 無 간편장부 단순
I 성실신고 유도 대상자 복식부기, 간편장부 기준/단순
V 주택임대 분리과세자 복식부기, 간편장부 해당 없음
Q 세금 있는 종교인 - 해당 없음
R 세금 없는 종교인 - 해당 없음
T 비사업자 (근로, 연금 등) - 해당 없음

📊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만 원 이하 6% -
1,400만 원 ~ 5,000만 원 이하 15% 126만 원
5,000만 원 ~ 8,800만 원 이하 24% 576만 원
8,800만 원 ~ 1억 5천만 원 이하 35% 1,544만 원
1억 5천만 원 ~ 3억 원 이하 38% 1,994만 원
3억 원 ~ 5억 원 이하 40% 2,594만 원
5억 원 ~ 10억 원 이하 42% 3,594만 원
10억 원 초과 45% 6,594만 원

💡 종합소득세 계산법 (누진세 구조)

종합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입니다. 소득 구간별로 다른 세율이 적용되며, 합산 방식으로 세액이 정해집니다.

❌ 잘못된 계산 예시

과세표준 6,500만 원 × 24% = 1,560만 원 ❌

 

이 방식은 전체 소득에 고세율을 곱하는 잘못된 방식입니다.


✅ 올바른 계산 예시

과세표준 6,500만 원 기준

구간금액세율계산식세액

0 ~ 1,400만 원 1,400만 원 6% 1,400만 × 6% 84만 원
1,400만 ~ 5,000만 원 3,600만 원 15% 3,600만 × 15% 540만 원
5,000만 ~ 6,500만 원 1,500만 원 24% 1,500만 × 24% 360만 원

총 세액 = 84 + 540 + 360 = 984만 원 ✅


📍 누진공제란?

누진공제 방식은 간편하게 종합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 과세표준 × 해당 구간 세율 = 산출세액
  • 산출세액 − 누진공제액 = 최종 세액

예시
과세표준 6,500만 원 → 세율 24%, 누진공제 576만 원
 6,500만 × 24% = 1,560만 원
 1,560만 − 576만 = 984만 원 ✅

 


📅 신고 및 납부 기간

대상 기간
일반 납세자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성실신고확인 대상자 2025년 5월 1일 ~ 6월 30일

※ 공휴일/토요일은 익일로 자동 연장
※ 성실신고확인서는 세무서장에게 제출해야 기한 연장 혜택 가능


💻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방법 설명
홈택스(PC) 국세청 홈택스 → 종합소득세 → 본인 유형 선택 후 전자신고
손택스(모바일) 앱에서 간편하게 신고 가능
세무대리인 전문가에게 신고 위임
서면신고 양식 출력 후 세무서에 제출

💳 납부 방법

방법 설명
홈택스 전자신고 후 즉시 납부 가능
카드로택스 신용카드 납부
인터넷지로 지로사이트에서 공공요금처럼 납부
은행/우체국 납부서 지참하여 직접 납부

홈택스 납부 가능 시간 : 매일 07:00 ~ 23:00


⚠️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불이익

  • 세액공제, 감면 혜택 적용 불가
  •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
  • 납부불성실 가산세: 1일당 0.022%씩 추가

✅ 종합소득세 체크리스트

  • [✔] 나는 신고 대상자에 해당하는가?
  • [✔] 납세자 유형을 정확히 알고 있는가?
  • [✔] 신고 및 납부 기한을 놓치지 않았는가?
  • [✔] 납부까지 완료했는가?

정확한 신고와 납부는 불이익을 피하는 가장 좋은 절세 전략입니다.
헷갈린다면 홈택스 상담센터 또는 세무대리인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