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연차수당.
하지만 정작 ‘얼마나 받아야 하는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미사용 연차일수가 몇 일이고,
통상임금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모르면
수당이 누락돼도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차수당 지급 기준과 계산 방식을 알기 쉽게 정리하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연차수당 자동 계산기도 소개해드릴게요.
✅ 연차수당이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
그에 대한 대체 수당을 지급받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사용하지 않은 연차 1일당 통상임금 1일치를 지급받는 구조예요.
📌 연차수당 지급 기준
- 1년간 발생한 연차 중 미사용한 연차일수가 있어야 함
- 해당 기간에 대해 퇴사 시 정산 또는 정기 지급
- 연차 발생 요건(출근율 등) 충족 필요
- 지급 기준은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 통상임금 계산이 핵심
연차수당에서 가장 중요한 건 ‘통상임금’ 계산 기준입니다.
통상임금은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 월 기본급
- 고정수당 (식대, 직책수당 등)
- 연간 상여금 (12개월로 나눠 반영)
통상임금 = (기본급 + 고정수당 + 상여금÷12) ÷ 209 × 8
이 공식으로 하루치 수당이 계산되고,
그걸 미사용 연차일수만큼 곱하면 총 연차수당이 됩니다.
🧮 희희픽 연차수당 계산기
이 복잡한 계산, 일일이 수식 넣지 말고
아래 계산기에서 바로 확인해보세요.
- 월 기본급, 고정수당, 상여금, 연차일수 입력만 하면
- 시간당 통상임금 → 1일치 → 총 연차수당까지 자동 계산
✔ 결과 한눈에 보기 쉽게 출력
🔁 주휴수당도 확인해보세요
시급제, 단시간 근로자라면 주휴수당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마무리 팁
연차수당은 퇴사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권리입니다.
통상임금 계산이 어렵다면,
계산기로 간편하게 확인해보시고 누락 없이 챙기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계산기 관련글
-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사용법 / 야간·휴일수당까지 자동계산
- 연장수당부터 야간·휴일근로까지 / 가산임금 제대로 받는 법
- 근로계약서 안 쓰면 벌금? / 알바도 반드시 써야 하는 이유와 핵심 체크리스트
근로계약서 안 쓰면 벌금? / 알바도 반드시 써야 하는 이유와 핵심 체크리스트
목차근로계약서, 정말 ‘그냥 종이 한 장’일까요?꼭 써야 하는 항목은 뭔가요?언제까지 써야 하고, 누구한테 줘야 하나요?다시 써야 하는 상황은 언제일까요?실제 예시로 보는 ‘재작성 필요
u10042.tistory.com
알바 계약서 안 쓰면 벌금? / 단시간·기간제 알바생도 반드시 지켜야 할 근로계약 규칙
목차‘알바’도 근로계약서 대상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단시간 vs 기간제, 어떤 알바가 해당되나요?계약서엔 어떤 내용을 반드시 적어야 할까요?언제까지 작성하고, 꼭 교부해야 하나요?알
u10042.tistory.com
📌 희희픽 계산기 시리즈는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필요한 계산이 있다면 댓글로 요청해주세요 :)
연차수당·주휴수당, 직접 계산하고 정확하게 챙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