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야간수당2

연장수당부터 야간·휴일근로까지 / 가산임금 제대로 받는 법 📌 야근했다고 더 받는 게 당연하긴 한데, ‘얼마’를 더 받아야 맞는 걸까요?특히 직장인이라면 ‘가산임금’에 대한 기본 개념은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연장근로, 야간근로, 주말이나 공휴일 근무 등 각각 얼마씩 추가로 받는지,이 글 하나로 헷갈림 없이 정리해드릴게요!✅ 가산임금이란?법정 근로시간 외의 노동에 대해, 사용자에게 추가로 부담을 지우는 제도예요.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시통상임금의 50% 이상을 더해 지급근로기준법 제56조에 근거👉 장시간 근무를 억제하고 근로자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랍니다.⏰ 가산임금 계산 기준표근로 형태기준 시간지급 기준연장근로주 40시간·일 8시간 초과통상임금 + 50%야간근로밤 10시 ~ 새벽 6시통상임금 + 50%휴일근로 (8시간 이내)유급휴일 근무통상임금 .. 2025. 6. 15.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사용법 / 야간·휴일수당까지 자동계산 근무시간이 길어지면 '수당'이 붙는다고 하는데, 얼마나? 언제부터? 어떻게 계산하는 걸까요?이번 글에서는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에 대한 법적 기준과 계산방법을 먼저 정리하고, 실제 계산기를 활용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드립니다.✅ 연장근로수당이란?법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입니다.이를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단, 연장근로는 근로자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주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52시간제)📌 계산 예시:시급 10,000원인 근로자가 하루 2시간 연장근무했다면,→ 연장수당 = 10,000 × 2시간 × 1.5 = 30,000원🌙 야간근로수당이란?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까지 근무한 시간.. 2025.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