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경제

국민연금 소득총액신고, 나는 해당될까?|기준소득월액 자동 산정 예외 대상 꼭 확인하세요

by 야무진 희희 2025. 5. 18.
반응형

국민연금 소득총액신고

 

매년 5월이면 일부 직장인과 사업장에
국민연금공단에서 **‘소득총액신고 안내서’**가 도착합니다.

그런데 이 문서를 받고 “이거 꼭 제출해야 하나요?” 하고 당황하는 분들, 의외로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부분은 자동 산정되지만 예외도 존재합니다.

신고 대상자가 아님에도 불안해서 서류를 내거나,
반대로 꼭 제출해야 하는데도 넘기는 경우도 적지 않죠.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과 소득총액신고 대상을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 목차

  • 기준소득월액이란?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의 핵심
  • 자동 산정이 원칙, 하지만 이런 경우는 예외!
  • 신고 대상자가 받는 서류는?
  • 신고 내용은 어떻게 작성할까?
  • 놓치기 쉬운 Q&A 정리

기준소득월액이란?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의 핵심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 × 9%**로 정해집니다.
여기서 기준소득월액이란, 가입자가 실제로 벌고 있는 월소득 기준 금액을 의미해요.

구분 내용
기준소득월액 1,000원 미만 절사된 월 소득
연금보험료 기준소득월액 × 9% (본인 4.5%, 사업장 4.5%)

 

이 기준은 매년 7월 새롭게 반영되며,
당해 연도 5월 신고 내용이 기준이 됩니다.


자동 산정이 원칙, 하지만 이런 경우는 예외!

대부분의 직장인은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국세청 급여 자료를 공단이 자동으로 반영하니까요.

하지만 아래 유형에 해당된다면, 5월 말까지 꼭 소득총액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예외 유형 설명
개인사업장 사용자 대표자 본인, 근로자 아님
급여자료 미보유자 국세청 미제출 혹은 누락
소득 변동폭 큰 경우 전년 대비 ±30% 이상
휴직 정보 불일치 육아휴직, 산재 등 납부예외 불일치
과세 시작일 오류 가입일과 실제 급여일 어긋남

 


신고 대상자가 받는 서류는?

공단은 매년 5월, 소득총액신고 대상자에게
안내문과 신고서를 발송합니다.

이 서류를 받았다면, 자동이 아닌 직접 신고 대상자일 확률이 높아요.

 

📋 신고서 작성 대상 조건 요약

  • 2024년 12월 1일 이전부터 근무 중인 가입자
  • 12월 2일 이후 신규 취득자 및 납부예외자는 제외
  • 실제 소득 지급액 기준 작성 필요

신고 내용은 어떻게 작성할까?

소득총액신고서에는 실제 근무기간과 지급된 총 급여액을 적습니다.

항목 작성 기준
근무기간 2024년 실제 근무 시작일
휴직일수 산재, 출산, 육아휴직 등 명확히 기재
총 소득 세전 기준, 실제 지급액 기준

 

💡 작성 후에는 5월 31일까지 등기 또는 온라인 제출해야 반영됩니다.


놓치기 쉬운 Q&A 정리

Q. 직장인인데 굳이 신고 안 해도 되나요?
→ 네, 대부분은 자동 산정 대상입니다.
다만 공단으로부터 안내문을 받았다면 예외일 수 있으니 확인은 꼭 필요해요.

 

Q. 신고서를 받았는데 무시해도 되나요?
→ 안 됩니다. 받았다면 대상자로 추정되므로 반드시 작성해 제출하세요.

 

Q. 내 기준소득월액은 어디서 확인하죠?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내 곁에 국민연금' 앱에서 가능합니다.


✅ 요약 정리

✔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은 자동으로 정해지지만,
일부 예외 대상은 5월 중 직접 신고가 필요합니다.

 

✔ 신고 대상자는 대부분 안내문을 통해 통보되며,
제출 기한은 5월 31일입니다.

 

✔ 제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보험료 산정 오류, 수급액 차이로 이어질 수 있으니
해당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 희희픽|헷갈리는 정보, 보기 쉽게 풀어드립니다 :)


 

반응형